Computer Science (9) 썸네일형 리스트형 [OS] scheduling(1) 📌process scheduling : ready queue에 있는 프로세스 중 누구에게 다음 CPU 권한을 넘겨줄 것인지 OS가 결정하는 것 scheduling 기준 분류- user oriented : TAT, reponse time, deadline … - system oriented : throughput, processor utilization … - fairness, balancing resource … 🌟모든 부분이 뛰어난 완벽한 scheduling algorithm은 존재하지 않는다! scheduling 기준- (maximize) CPU utilization : 최대한 CPU가 쉬는 시간이 없게 알차게 활용하는 것 - (maximize) throughput : 단위 시간당 처리된 일의 수.. [OS] LDE machanism (limited direct execution) 📌Direct execution : OS가 제어 및 프로그램 실행에 관여하지 않고, resource 준비만 하던 초기의 형태 - 문제점 1. 함부로 사용하면 안되는 함수, 요청을 사용자가 수행해버릴 수 있는 구조 2.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스를 OS 마음대로 끊을 수 없다. time sharing을 위해 OS가 필요할 때 강제로 멈추고 CPU 권한을 가져올 수 있어야한다. 📌LDE (limited direct execution) → DE의 개선안 문제1 피드백 : 사용자가 수행하면 안되는 부분은 OS가 수행 - 무엇을? : general mem access, disk I/O, 특정 권한을 갖는 instruction - 어떻게? : user mode ↔ kernel mode (hw resource 필요한건 .. [OS] Process 🌟CPU virtualization 위해 지원해야할 성능- OS의 low-level mechanism (ex. context switch)- OS policy (ex. 이 process 다음에 무슨 process 수행하지?) 📌process: running program. mem에 위치하여서 CPU가 접근하여 수행할 수 있는 상태.서로 다른 state를 가진다. - program: disk에 위치하여 실행될 수 없는, 그저 객체일 뿐인 것. (state가 단 하나)- process state의 결정요소1. 이 process 수행 위한 resource2. CPU에 대한 권한 📌process stateOS가 개별 프로세스가 위치한 모든 state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.1. 3-state reso.. [OS] computing system (remind) von neumann machine: CPU는 오직 memory를 통해서만 처리 / 내장형 프로그램 방식1. mode bit: dual mode의 상태를 나타낸다.- mode bit 0 : kernel mode | CPU 권한이 OS에게 있다 (= CPU가 OS의 코드를 수행하고 있다.) → PC가 OS의 주소를 가리킨다.- mode bit 1 : user mode | CPU 권한이 user program에 있다. (= CPU가 사용자가 만든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.) → PC가 program memory 주소를 가리킨다.📌왜 dual mode를 사용할까? : 시스템 보호를 위해서이다. user가 독자적으로 수행할 경우 OS에 위협이 갈 수 있는 작업은 kernel에게 요청하도록 .. [OS] OS의 특징 📌OS의 3가지 주요 특징 1. virtualization : “없는데 있는 것처럼” - CPU virtualization : CPU는 제한되어있지만, 사용자가 많은 CPU를 혼자 사용한다고 생각하도록 느끼도록 하는 것→ resource management & policy(scheduling)가 필요하다.time sharing 등으로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인다. - memory virtualization : mem은 제한되어있지만, 사용자가 mem을 무한하다고 느끼도록 하는 것.OS와 CPU는 용량이 제한적인 pysical memory(DRAM)를 주소를 갖는 byte배열로 추상화하고, 각 주소당 10,000byte를 저장하는 배열의 형태로 인식한다.→ program1의 2000번지와.. [OS] operating system이란? / history *이 카테고리의 게시글은 경북대학교 운영체제 수업을 수강하면서 개인적인 공부 차원에서 작성하고 있습니다. 교재 : Operating Systems Three Easy Pieces (Remzi H. Arpaci-Dusseau & Andrea C. Arpaci-Dusseau)1️⃣ operating system이란? 컴퓨팅 시스템을 구현하는 interface→ 사용자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복잡한 디테일을 몰라도 os를 통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.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과 목적을 사용자가 손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SW 📌os가 하는 주요한 일 : resource management (coordinater)- (편의성)복잡한 컴퓨터 시스템을 쉽게- (효율성)복잡한.. [System programing] ls, stat 1️⃣ ls: 현재 dir에 위치한 파일의 목록 출력 📌 주요 ls 옵션 - 다른 dir과 file예시actionls tmp/tmp dir 안의 파일 이름 목록 출력ls -l docs현 dir에 docs dir의 존재 확인 + 안의 파일 목록을 속성과 함게 출력ls -l ../Makefile상위 dir에 Makefile dir의 존재 확인 + 안의 파일 목록을 속성과 함게 출력 ls *.c확장자가 c인 파일의 이름 목록 출력📌 주요 ls 옵션-a숨김파일을 포함한 경로 안의 모든 파일 출력-lu생성시간 순으로 정렬 + 속성 함께 출력-s블록 크기 함께 출력-t수정된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출력-F파일type(확장자) 함께 출력 📌 작동원리open dir -> [ read entry -> display f.. [System programing] who, cp, buffering 0️⃣ Linux 로그파일1. wtmp (/var/log/wtmp) : 성공한 로그인/로그아웃 정보 담고있는 로그파일 $last 명령어 사용2. utmp (/var/run/utmp) : 현재 로그인 사용자 상태정보를 담고있는 로그파일 $w, $who, $finger 명령어 사용3. btmp (/var/log/btmp) : 실패한 로그인 정보를 담고있는 로그파일 1️⃣ vi Editor: Linux/Unix에서 사용되는 화면지향적 text 편집기 command mode와 insert mode가 있다 ⦁ command mode : 시작할 때 사용되는 기본모드 / 파일 내 이동, 변경, 저장 등의 명령어 ⦁ insert mode : 텍스트가 생성되는 모드 / 키로 다시 command모드로 돌아간다. 2️.. 이전 1 2 다음